STUDY NOTE/도시농업

[지식 정리소] 최재천의 아마존 / 화성 이주 정말 가능할까? 일론 머스크 테라포밍 관련

hijo2 2022. 6. 30. 23:35
반응형

 

일론머스크의 계획처럼 인간은 화성으로 이주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는 '화성에 지구와 같은 생태를 만들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내포되어 있다.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은

 

'불가하다'이다. 

 

우리가 화성으로 몇 가지 생물을 옮겨서 정상적인 생태계를 만드는 것은 절대 불가하다.

 

 


이에 대한 근거를 두 가지 생태학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1. MVP

 

생태학에서는 MVP(최소 생존가능 개체수, Minimum Viable Population)이라는 개념이 있다. 

 

[정의]'어느 정도 규모'의 개체군이 있어야

생물들이 유전적으로 건강하고 멸종당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가를 '계산'하는 개념이다. 

 

 

2. Assembly rule

 

 

군집생태학에서는 Assembly rule(어셈블리 룰)이라는 개념이 있다.

 

[정의]'생태계를 이룰려면 기본적으로 있어야하는 것, 조합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이다.

 

 

한 때 생태학에서 굉장히 인기가 많던 개념이나,

현재로서는 생태계의 필수요소를 선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론 도출하여 

더이상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개념이다. 

 

왜냐하면!

 

생태는 아래의 [Fig 1]과 같이

식물, 초식동물, 육식동물, 기생생물, 곰팡이, 박테리아 등

다양한 생물들이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이들은 저마다의 먹이사슬이 있다.

먹고 싶은 것만 먹는,

편식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지구에 중요한

식물 하나, 동물 하나, 곰팡이 하나씩 종들을 골라서

 

MVP를 계산해서 데리고 가더라도

그 식물, 동물, 곰팡이들이

서로의 먹이사슬로 이어지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우리는 자연에 대해 아주 손톱만큼밖에 알지 못한다. 

 


아무리 알고 있는 만큼 

계산하고 설계하더라도

지구와 비슷한 생태를 

화성에도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재천 교수님의 말씀에 따르면,

 

 

경작 생태계는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농작물 위주로 가져가는,

또는 농작물을 키우는 전략을 짜야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영상은 끝난다. 

 

나는 생각한다. 


개인적인 생각

 

1. 스마트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화성에 먹을 수 있는 농작물의 범위가 달라질 것이다. 

2. 화성에서도 최소한의 생태를 느낄 수 있게 하려면, 어떤 식물이 적합할까? 나는 이끼가 어떨까 싶다. 

3. 다른 우주학자의 논리도 들어볼 필요가 있다. 

4. 이끼와 스마트팜 기술을 접목하면 어떻게 될까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이 생각을 조금 더 깊게 해보아야겠다. 

5. 나도 교수님처럼 화성에 가보고 싶다. 하지만 지구가 더 좋다. 

 


이끼, 무궁무진한 활용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한 영상은 아래와 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v=nsi-xD1P-H4 

 

 

구독자분들!
오늘도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반응형

'STUDY NOTE > 도시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SON NOTE] 내가 도시농업을 공부하는 이유  (6) 2022.02.11